디모데의 어머니나 할머니의 평생소원은 디모데가 선한 일군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일군’이란 본래 헬라어로 ‘디아코노스’입니다. 번역하면 ‘종’입니다. 현대적 의미는 ‘사역자'(Minister)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주님의 종입니다.
[카테고리:] 오피니언
코이네 박동진 목사의 칼럼
훌륭한 지도자는 언제나 경청하는 사람입니다. 경청하는 것이 바로 훌륭한 지도자가 배우는 방법입니다. 경청하는 것은 훌륭한 지도자가 무슨 일이 필요한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불행하게도 때때로 우리가 신속하게 듣지 못하는 한가지 이유는 말하는데 너무 빠르기 때문입니다.
교회치리(church government)라는 주제는 그리 흥미로운 것은 아니다. 주제에 대한 현대 문헌이 빈약하다는 사실을 근거로, 사람들은 교회정치(church polity)가 매우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말씀이 사람의 마음에 없는 이유 1.사람들이 너무 바빠서 말씀을 마음에 받아들이지를 못합니다. 공부에 몰두하여 그것에 바빠서 쫓겨가는 생활을 하는 학생들은 복습과 예습, 중간고사 준비,

“개척교회를 돕는 실제적인 도움” 교회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꼽으라면, 1. 재정(financial resource) 2. 시스템(system) 3. 인력(human resources) 4. 시설(facility resources)이다. 그러기에, 미자립교회를 돕는 방법으로는, 1.

목회자의 글쓰기,틀에 박힌 생각에서 탈출하기 목회자는 다양한 본문과 주제로 설교한다. 설교의 마지막은 적용이라는 점에서, 그 모든 주제는 결국 ‘삶의 변화’를 촉구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변화를

초등학교를 다닐 때만 해도 학용품이 변변치 않았다. 몽당연필을 볼펜 깍지에 끼워서 침을 발라가며 썼고 표지에 그림이 있고 줄이 그어진 노트는 언감생심, 누런 연습장에 대나무

하나님의 가족 인류가 세상에 존재한 이후 하나님께서 세워주신 가정은 계속해서 인간들의 삶의 근거가 되어 왔습니다. 가정은 민족 이전의 민족이고 국가 이전의 국가로 그

“부활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라고 말할 때 크게 보아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는 실증적으로 검증가능한 범주를 벗어나는 사건이라는 말이다. 사실이 아님을 전제하는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