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가 한국교회를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지표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비개신교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교회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측정했으며,
실제의 사람은 경멸하거나 신격화할 대상이 아니라 하나님이 사랑하는 대상이다. 우리는 무가치한 존재가 아닙니다. 그렇다고 우리는 하나님도 아닙니다. 우리는 의미 있는 존재이지만 타락했습니다. 우리는 끔찍한
주님이 원하시면, 내가 원하노니 본문 : 마태복음 8장1~4절 2020.7.5. (맥추감사절) 고대 사회에서 나병은 모든 질병 가운데 가장 무서운 것이었습니다. 이 병은 처음에는 작은 반점이
무리가 듣고 놀랐더라 본문 : 마태복음 7장 28-29 설교 : 박동진 목사 예수님의 말씀을 다 듣고 난 뒤 사람들은 놀랐습니다. 가르침의 내용도 그렇고 또한
그러므로 내 형제에게 환멸을 느끼는 바로 그 시간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유익한 시간이 된다. 왜냐하면 우리 중 누구도 자신의 말이나 행동으로 살아갈 수 없으며
‘십자가는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있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첫번째로 경험해야 하는 그리스도의 고난은 이 세상에 대한 애착을 버리라는 요구다’ 자기 십자가를 지는 것은 고난이나 재난에 대한 비굴한
반석 위에 세운 집 본문 : 마태복음 7장 24절 – 27절 2020. 6. 21. 이스라엘은 비가 내릴 때만 물이 흐르고 이내 말라 버리는 ‘와디’(wadi)지형이
‘우리 중 누가 하나님의 선하심이 우리를 갈등으로 인도한다는 것을 실제로 인정하는가?’ 우리는 하나님의 복이 항상 우리를 평화와 행복의 길로 인도해야 한다고 생각할 지 모릅니다. 그러나
사도행전 주요 구절(13~28장) 행13:47~49 주께서 이같이 우리에게 명하시되 내가 너를 이방의 빛으로 삼아 너로 땅 끝까지 구원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니 이방인들이 듣고 기뻐하여 하나님의
사도행전 주요 구절(1~12장) 행1:8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행2:1~4 오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