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22장 혼인잔치비유] 길가는 사람 불러 놓고 예복 타령이라니

민영진목사(대한성서공회총무)

마태복음 22장 1∼14절을 보면, 예수께서는, 천국을 아들을 위하여 혼인잔치를 베푸는 어떤 임금과 같다고 비유하시면서 말씀하신 “왕실 혼인잔치의 비유”가 나온다. 임금이 종들을 보내어 이미 초청한 몇몇 귀한 손님들을 오라고 했더니, 초청 받은 이들이 모두 오기를 싫어한다는 말을 듣고, 임금은 다른 종들을 또 보내어 혼인잔치에서 대접할 풍성한 식단까지 소개해 가면서 다시 초청하였다. 그러나 한 사람은 자기 밭일이 바쁘다고 밭으로 가고, 또 한 사람은 상업차 길을 떠나고, 나머지 초대받았던 나머지 손님들은 임금의 종을 능욕하고 죽였다. 그러자 노한 임금은 군대를 보내어 살인자들을 진멸하고 동네를 불살랐다. 그러면서 임금은, 잔치 준비는 끝났음을 알리고, 이미 초청받은 이들은 이 잔치에 합당한 사람들이 아님을 확인하고, “네거리 길에 가서 사람을 만나는 대로 혼인 잔치에 청하여”(22:9) 오게 하였다. 그래서 “종들이 길에 나가 악한 자나 선한 자나 만나는 대로 모두 데려오니 혼인 잔치에 손님이 가득하였다”(22:10).

임금이 손님들을 보러 들어왔다. 거기에 예복을 입지 않은 한 사람을 보고 왜 예복을 입지 않고 들어왔느냐고 묻는다. 그러자 초대받고 들어왔던 그 사람은 유구무언(有口無言)이었다고 한다. 어디 그뿐인가! 임금은 예복을 입지 않은 손님의 수족을 결박하여 “바깥 어두운 곳”에 던지라고 한다. 이 무슨 날벼락인가?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갊이 있으리라”고 말한다.
봉변 당한 사람으로서는 참으로 통탄(痛嘆)할 일이다. 거리에 있는 사람 억지로 불러다가 혼인 잔치에 앉게 해서 앉은 것뿐인데, 혼인 잔치에 걸맞은 예복(禮服)을 입지 않았다고 손을 묶는 것으로도 모자라 발까지 결박하여 땅 속 어두운 곳에 가두다니! 정말, 당한 사람으로서는 이를 갈 일이다. 미리 초청을 받았다면 예복을 준비했을 수도 있었겠지만, 거리에서 돌아다닐 때 입던 옷 그대로 초청 받아 왔는데, 무슨 예복이란 말인가! 또 다른 손님들도 다 마찬가지로 혼인 잔치에 갈 생각도 못하고 거리로 나왔다가 여기 잔치 자리에 온 이들인데, 도대체 그들은 또 언제 어떻게 예복을 준비하여 입고 왔단 말인가?

언젠가 어느 친구에게 초대를 받아 서울의 어느 “클럽 하우스”라는 데를 가본 일이 있다. 때는 여름이어서 넥타이를 매지 않는 정장 윗도리를 입고 갔다. 그런데, 입구에서 손님을 맞는 식당 종업원이 나의 길을 막는다.
“손님, 죄송합니다. 여기 식당에는 정장을 하셔야만 출입이 됩니다. 초청하신 분께서 이미 말씀하셨을 줄 압니다.”
“네, 말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리 식대로 정장을 하고 왔습니다.”
“넥타이를 매셔야 합니다.”
“이것은 넥타이를 매지 않는 옷인데요.”
“그래도 매셔야 합니다. 여기 규정이 그러합니다. 손님 같은 분을 위해 우리가 넥타이를 준비했습니다.”
종업원이 여러 개의 검은 색 계통의 넥타이를 벌써 어디선가 가지고 왔다. 나는 더 완강하게 버틸 처지도 아니고 해서, 약간은 바보 같은 느낌이 들어도 바보들의 축제에 온 기분으로 노타이셔츠 차림에 목 둘레 맨살에다가 검은 타이를 매고 들어갔다. 나는 우리 일행이 와 있는 방으로 들어갔다. 모두들 나의 기괴한 패션에 놀랐다. 나는, “예복을 안 입고 오면 바깥 어두운 곳에 쫓겨날까봐 이렇게 넥타이를 매고 왔습니다” 하고 말했고, 초대받은 손님들은 모두들 나의 바보 같은 옷차림을 보고 한바탕 웃었다. 나는 좌중(座中)을 둘러보며 말했다. “바로 이것이었던 것 같습니다. 예수께서 말씀하신 ‘왕실 혼인잔치의 비유’에서도, 거기 뜻밖에 혼인잔치에 초대받은 길 가던 사람들이 어느 사이에 예복을 준비하여 그것을 입고 예식장에 들어갈 수 있었겠습니까? 혹시 혼인잔치에 참석하는 사람들에게 주인이 예복을 여기에서 주는 이런 넥타이 같은 어떤 것을 주지 않았을까요? 임금에게 혼난 이 사람은 종업원들이 그런 예복을 입으라고 주었는데도,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그냥 들어왔다가 임금에게 죄인 취급을 받고 감옥에 갇히게 된 것이고요…”

생각해 보니 그럴 것 같다. 주석들을 보니, 모두 나처럼 추측을 하고 있다. 혼인잔치를 차려놓고 손님을 초대한 주인은 손님들이 위에 예복으로 걸칠 것을 미리 준비해 놓았다가 그것을 걸치고서야 예식장 안으로 들어 올 수 있게 하는 풍속이 있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미리 초대받고 온 이들이 아니고 평상시에 거리에 있던 이들을 초대했을 경우에는 더더욱 주인이 이런 예복을 준비했었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예복을 준비했는데도 그것 입기를 거절한 것은 어느 의미에서는 초청자인 주인을 모독한 것일 것이다.

지금도 이스라엘에 가보면 유대교에서 특별히 거룩하게 여기는 곳에는 노출이 심한 옷을 입고 들어갈 수가 없다. 거기에 들어 갈 이들을 위한 긴치마와 어깨와 팔을 가릴 웃옷을 입구에 준비해 놓고 그것을 입고서야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곳이 있다.
초대장은 이미 오래 전에 나갔다. 예언자들은 오래 전부터 하나님의 백성을 준비시켜 장차 올 구원에 대비하게 하였다. 그러나 정작 잔치가 벌어졌을 때 초대받은 이들은 초대에 응하기를 거절했다. 기껏 거리에서 초대받은 이들 중에도 예복 입기를 거절해서 쫓겨난 이들도 있다. 예복을 입는다는 것은 그 초대에 걸맞은 삶을 산다는 것일 것이다. 그것이 그렇게 힘드는 것일까? “청함을 받은 자는 많되, 택함을 받은 자는 적으니라”(마22:14)는 말도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일 것이다.

*이 글은 대한성서공회 홈피에 있는 민영진 목사님의 글을 옮겨왔습니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