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에게 주신 언약을 ‘축복의 통로’ 등 다른 표현으로 한다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너는 복이 될지라’ 하셨습니다.  복이 된다는 말을 흔히 ‘복의 근원, 축복의 통로’ 등으로 표현하는데 저는  “살아가는 존재 자체가 복이 되는 삶” 이라고 생각합니다. 멋지지 않나요?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 또 다른 표현들이 떠올라서 한 번 추려봤습니다.  “내 숨결과 걸음마다 하나님의 은혜가 머무는 삶” “있는 그대로, 그 자체로 누군가에게 선물이 되는 삶” “나의 존재로 하나님 … Read more

아브라함에게 ‘너는 복이 될지라’ 하신 뜻은?

“복이 된다”는 말, 우리가 자주 듣지만 곱씹어 보면 참 의미가 깊지요. 하나님이 아브람에게 하신 말씀을 다시 떠올려 봅시다. “너는 복이 될지라” (창12:2) 이 말씀은 복을 받는 것을 넘어서, 복이 되는 사람, 즉 복의 근원, 복의 통로가 된다는 뜻입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 1. 복이 된다는 것은 흘려보내는 존재가 된다는 것 하나님께 받은 은혜와 사랑, … Read more

[새벽설교] 창 11:10 하나님의 은혜가 흐르는 족보_박동진 목사

하나님의 은혜가 흐르는 족보  본문 : 창세기 11:10-26 (발췌) 2025.4.26. 소토교회 아침기도회 설교    이 본문은 셈으로부터 시작해 아브라함에 이르기까지의 족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족보, 참 읽기 쉽지 않은 본문이지요? 하지만 족보 속에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놀라운 은혜와 메시지가 있습니다.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가 흐르는 족보’라는 주제로 함께 은혜를 나누고자 합니다. 족보 속에 감춰진 … Read more

구약성경에서 ‘정결과 부정’에 대한 기준은 무엇인가?

정결(clean)과 부정(unclean)에 대한 기준은 구약성경 전체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깊이 있는 주제입니다. 단순히 위생적, 문화적, 종교적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영적이고 상징적인 의미가 풍부하게 담겨 있습니다. 정결과 부정의 기준이 무엇인가? 성경적 맥락 안에서 찾아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 정리 🔹 정결(정한 것, clean)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는 상태를 뜻합니다. 예배, 제사, 공동체 안에서 하나님의 거룩함에 참여할 수 … Read more

노아시대에 ‘정결하고 부정한 짐승’의 구분이 생긴 이유

질문) 정결하고 또 부정한 짐승을 구분하는 것은 모세가 출애굽 이후에 생겨난 것인데, 왜 여기에 등장할까요? 답변)  말씀하신 대로,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의 명확한 구분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율법을 받은 이후, 즉 출애굽 이후에 본격적으로 규정된 것입니다. 특히 레위기 11장과 신명기 14장에 그 구분이 자세히 나타납니다. 그런데 창세기 7장에서 이미 정결/부정의 구분이 등장한다는 것은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 Read more

Categories Q&A

인간의 죄 때문에 왜 땅이 저주를 받아야 합니까?

질문) 창세기 3장에 “왜 인간이 지은 죄 때문에 땅까지 저주를 받아야 하는가?” 하나님은 공의로운 분이신데, 왜 인간의 죄가 자연에까지 영향을 주어야 할까요? 답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성경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인간과 자연은 분리된 존재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을 창조하시고 그들에게 피조 세계를 관리하고 돌볼 책임을 맡기셨습니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이르시되… … Read more

범죄한 인간에게 내린 형벌, 저주일까 징계일까?

질문) “하나님께서 범죄한 아담에게 질책하신 내용은 징계인가요? 저주인가요?” 답변)  하나님께서 뱀에게는 “너는 저주를 받아라”(창 3:14)라고 분명히 말씀하셨지만, 아담에게는 “너는 저주를 받았다”고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대신, “땅은 너로 말미암아 저주를 받고”라고 하십니다. 그 차이 속에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가 함께 담겨 있습니다. 함께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1. 직접적인 표현의 차이 뱀에게는 ‘너는 저주를 받아라’ (창 3:14) “네가 이렇게 하였으니 너는 … Read more

Categories Q&A

해방 후의 한국 주일학교

해방 후 주일학교의 재건과 남북한의 차이 해방이 되자 무너졌던 재단이 다수 수축되고, 잠잠했던 주일학교 운동이 다시 일어났다. 남한에서는 이러한 부흥이 일어났으나, 북한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1947년 1월 14일, 서울에서 주일학교 재건 운동이 시작되었고, 1948년에는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대한기독교교육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이 단체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붕괴되었고, 1952년 피난지인 부산에서 다시 재출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주일학교연합회’가 … Read more

[창 9:8] 무지개 언약 _박동진목사

무지개 언약 – 기억하시는 하나님의 자비 본문: 창세기 9장 8~17절 2025.4.21. 소토교회 아침기도회 설교     “여러분은 무지개를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언제, 어디서, 어떤 마음으로 보셨는지 떠오르시나요? 비가 그친 뒤, 어두운 하늘 사이로 슬그머니 떠오르는 무지개를 볼 때, 그 안에 어떤 의미를 느끼셨나요? 또 이렇게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하나님이 우리를 잊지 않으신다는 확신, 여러분은 언제 가장 … Read more

[창 9:1] 피를 생명으로 존중하라

피를 생명으로 존중하라 본문 : 창세기 9:1-7   서론: 새로운 시작과 하나님의 명령 창세기 9장은 대홍수 이후 노아와 그의 가족이 새 땅에서 시작하는 시점에 주어진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물로 세상을 심판하신 하나님께서는 새로운 인류에게 다시 복을 주시며, 창세기 1장에서 아담에게 주셨던 사명을 반복하십니다.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이는 단순히 인구 증가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대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