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기도] 창 3:22 하나님은 왜 생명나무의 길을 막았는가?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은 창세기 3장 22절부터 24절 말씀을 중심으로 묵상해보려고 합니다.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인간, 그리고 생명나무로 가는 길을 막으신 하나님의 결정. 우리가 이 본문을 읽을 때, 마음 한편에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왜 하나님은 그 길을 막으셨을까? 선악과 먹은 죄는 알겠지만, 그 상태로라도 영원히 살면 좋은 거 아닌가?” 오히려 사람들이 보기엔 너무 가혹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말씀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이 결정 안에 담긴 하나님의 깊은 의도와 사랑이 드러납니다.

하나님의 판단과 조치

22절 말씀을 보면요, 하나님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보라, 이 사람이 선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으니, 그가 그의 손을 들어 생명나무 열매도 따먹고 영생할까 하노라.” 여기서 중요한 표현이 하나 있어요.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다.” 인간이 선악과를 먹고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는 존재가 되긴 했지만, 그건 하나님처럼 거룩하고 완전한 분별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죄로 인해 왜곡된 눈으로 판단하게 된 것이지요.

그리고 하나님께서 걱정하신 건, 바로 이 죄 지은 상태로 영생하게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면요, 죄가 해결되지 않은 채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고 영원히 살아간다면, 그건 축복이 아니라 끔찍한 형벌이 되는 겁니다. 타락한 상태로 영원히 살아간다는 건, 회개할 기회도, 구원의 길도 없이 영원히 죄 가운데 고착된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하나님은 인간이 생명나무에 다시는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십니다.

23절에서는 하나님이 사람을 에덴 동산에서 내보내십니다. 왜요? 흙을 갈게 하시려고요. 다시 말해, 땀 흘려 수고하고 고통 가운데 살아가게 하신 거예요. 이것은 단순한 벌이 아니라, 회복의 시간을 주신 은혜이기도 합니다. 죄 가운데 있는 인간이 그냥 생명나무 열매 먹고 끝나버렸다면, 구속의 역사 자체가 불가능해졌겠죠. 하나님은 사람을 내보내시되, 포기하지 않으셨습니다.

24절에 보면, 하나님께서 에덴 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회전하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 길을 지키게 하셨다고 해요. 이건 하나님이 “두 번 다시는 못 들어오게 하겠다”는 냉정한 심판 같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하나님께서 죄인이 생명나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으신 것은, 궁극적인 구원의 길을 예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즉, 죄인이 그 상태로 영원히 살게 되지 않도록 막으신 건 하나님의 ‘사랑의 보호’였던 거예요.

인간의 반응: 하나님 없이도 영생을 얻으려는 시도

그런데 문제는, 인간이 이 하나님의 뜻을 오해한다는 겁니다. 사람들은 “하나님이 우리를 너무 제한하신다, 자유를 뺏는다”고 불만을 갖고, 결국 하나님 없이도 영생에 이를 수 있다고 믿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바벨탑을 생각해보세요. 인간의 힘으로 하늘에 닿고자 했습니다. 하나님의 도움 없이도 이름을 내고, 영원한 존재가 되겠다는 시도였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들은 선하게 살면 된다, 착하면 천국 간다, 종교 없어도 도덕적으로 살면 구원받는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은 외형적으로는 좋아 보입니다. 사실, 세상 사람들 중에는 성실하고 선한 이들이 많아요. 이웃도 돕고, 거짓말도 안 하고, 남에게 피해 주지 않고 정직하게 사는 사람들이 있지요. 그러면 우리는 질문하게 됩니다. “그런 사람도 죄인인가요? 그렇게 선하게 사는 사람도 하나님 없이 영생에 이를 수 없나요?”

성경은 이 질문에 분명하게 대답합니다.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로마서 3:10). 왜 그럴까요? 행동이 아무리 선해 보여도, 그 마음이 하나님을 떠나 있다면, 그 선행은 하나님 앞에서는 온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사야서 64장 6절에서는 이렇게 말해요. “우리의 의는 다 더러운 옷과 같으며.” 즉, 인간의 선함은 스스로를 구원할 정도로 완전하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깨끗해 보여도 죄의 본성이 남아 있는 한, 하나님의 기준에서는 온전한 의가 아닌 것이죠.

인간의 선함에 대한 하나님의 시선

그렇다고 해서 하나님이 인간의 선함을 무가치하다고 여기시는 건 아닙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도 이웃 사랑을 강조하셨고, “작은 자 하나에게 냉수 한 그릇을 주는 것”도 귀하게 보십니다. 그런데 그 선함이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행해지느냐, 아니면 자기 의와 자랑으로 행해지느냐, 그 차이가 너무나 큽니다.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사도행전 10장에 나오는 고넬료는 로마 군인이었지만, 하나님을 경외하며 많은 구제와 기도를 했습니다. 하나님은 그의 선함을 보시고 천사를 보내 복음을 듣게 하십니다. 그의 선행이 복음을 받을 마음밭이 되어 있었던 거죠. 그러니까 인간의 선한 의도와 행동도 하나님의 구속 역사 안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구원의 근거가 되지는 않아요. 구원은 오직 은혜로, 믿음으로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닫힌 문, 그러나 다시 열린 문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하나님은 분명 생명나무로 가는 길을 막으셨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다른 길을 열어두셨습니다. 바로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예수님께서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은 곧, 닫힌 생명나무의 문을 다시 열 수 있는 유일한 분이 예수님이란 뜻입니다.

이제 우리는 생명나무에 이를 수 있습니다. 단, 우리의 노력이나 선함이 아니라, 예수님의 의로 옷 입고, 그분을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 길에 들어설 수 있게 된 겁니다. 이게 바로 복음입니다.

하나님 없이도 잘 살 수 있다고 믿는 이 시대의 사람들에게 우리는 이 진리를 전해야 합니다.

오늘도 우리의 선함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를 붙드는 하루 되시기를 바랍니다. 죄인인 나를 외면하지 않으시고, 차단된 길에 다시 생명의 문을 여신 주님을 의지하며 살아가시기를 축복합니다.

묵상을 위한 질문 

  1. 내 안에 하나님 없이도 ‘잘 살 수 있다’는 자만심은 없는지 돌아봅시다. 

  2. 내가 선하다고 여기는 행동들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사람의 칭찬이나 자기 만족을 위한 것인지 생각해봅시다. 

  3. 하나님이 내 삶에 막으신 ‘문’은 무엇이며, 그 안에 담긴 뜻은 무엇일까? 내가 원했지만 막히거나 닫힌 길은 혹시 나를 보호하시려는 하나님의 은혜는 아니었을까 생각해봅시다. 


 기도문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죄로 인해 닫힌 생명나무의 길 앞에 저희를 세우시고, 그 문을 다시 여시기 위해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주심에 감사합니다.

주님, 저희는 종종 스스로 선하다고 착각하며 하나님 없이도 바르게 살 수 있다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주님의 기준 앞에 설 때 저희의 의는 다만 더러운 옷과 같음을 고백합니다.

하나님, 저희의 선함이 아닌 오직 예수님의 의로 덧입고 살아가게 하소서. 닫힌 문을 억지로 열려 하지 않고, 예수님 안에 마련된 새롭고 산 길로 걸어가게 하소서.

저희 주변에도 선하게 살지만 복음을 알지 못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착한 삶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에게 참 생명 되신 예수님을 소개할 수 있는 용기와 지혜를 주옵소서.

닫힌 길에도 하나님의 사랑이 있고, 열린 문 안에 하나님의 은혜가 있음을 기억하며, 오늘도 겸손히 감사하며 살게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