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로버트 레이크스가 시작한 최초의 주일학교

최초의 주일학교는 영국에서 17-18세기에 걸쳐 펼쳐진 기독교 자선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영국은 사회적으로 큰 타락의 시기였다. 청교도에 대한 반동으로 교회가 부패하여 교직자들은 타락했고, 정치는 금권으로 휩쓸리는 비참한 시기였으며, 농촌은 피폐하여 가난으로 인해 몰려드는 직공들은 대부분 아이들과 부녀자들이었다. 이들은 저임금으로 노예처럼 혹사를 당해야만 했고, 주일이면 거리에 뛰쳐나와 시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부도덕과 악행을 일삼았으며, 농장에서 곡물을 강탈하였다. … Read more

교회학교 교사들의 자기 인식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월터 부르그만 (Walter Bruggemann)은 “교육이 공동의 관심사”라고 하였다. 이 말은 교육은 공동체의 생존과 적응, 두 가지 모두를 위해 중요한 것으로, 교육은 공동체의 유산과 새로운 가능성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람들의 운명을 형성하고 또 미래를 향해 공동체가 계속적으로 성장하도록 한다. 교사는 공동체의 과거와 미래를 중간에서 매개하는 중대한 책임을 맡은 자이다. 그에게는 세대들을 결속시켜야 할 책임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 Read more

주입식 신앙교육에 대한 존 듀이의 비판

너무 이른 나이에 어른들의 의한 주입식 종교교육이 이루어질 때, 듀이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첫째, 아동과 청소년들은 종교에 무관심하며 무감각한 경향을 보일 수 있다. 너무 어린 나이에 외부로부터 종교에 대한 것들이 과도하게 주입되어 그것이 너무 익숙한 지식이 되어 버리면 싫증이 나거나 스스로 그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게 될 것이다. 둘째, … Read more

르네상스 운동과 교육 혁신

르네상스는 인문주의적 사상을 낳았고 그것은 인간성의 원만한 계발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인간적 문화 인간적 교양을 궁극적인 기대로 삼았다. 따라서 그 목표는 고대 그리스나 특히 황금기의 아테네에서 전형적으로 실현될 수 있었던 것으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사상이 곧 교육이상의 기저가 되었다. 인문주의 교육의 본래 취지는 폭넓은 고전적 교양을 목적했고 그 학습을 권했던 것이다. 이러한 취지나 목적에도 … Read more

사순절 기간을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

사순절 기간을 의미 있게 보내는 방법

사순절 기간 은 이렇게     사순절(Lent)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운명하신 성 금요일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 동안 고난받고 수난 당하신 삶을 명상하며 근신하고 회개하는, 오랫동안 전해내려온 기독교의 절기이다. 사순절의 역사적 출현을 살펴보면, A.D. 325년 니케아 회의에서 정한 교회의 규칙에 40일 간의 사순절이 언급되어 있고, 몇 년 후 아타나시우스의 목회서신에도 사순절과 부활절에 대한 준비의 말씀이 있다. 사순절이 … Read more

대강절 성육신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교회교육

대강절 성육신의 의미를 살릴 수 있는 교회교육

대강절의 의미와 교회교육   송남순(교수, 한일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 월간「교육교회」95.11월호(기독교교육연구원 제공)               교육은 형식적 장소에서 짜여진 교과과정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비형식적 장에서 자연스러운 삶의 형태와 같은 비형식적 교과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특별히 종교교육은 많은 부분이 비형식적 교과과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가장 크게 차지한 비형식적 교과과정이 바로 절기를 통한, 교회력을 통한 교육이다. 온 신앙의 공동체가 함께 지키는 절기 명절은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