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신앙과 신학

예수는 왜 삼위일체 하나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 하였나?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세례시 삼위 칭호는 예수의 세례시 나타난 삼위를 반영한다 (3:16-17).
예수께서 분명하게 ‘세례를 주라’고 명하신 곳은 오직 이 본문에서이다.
처음 제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
삼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지는 않았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는 것 이외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삼위 세례 공식문은 비교적 후기에 생긴 것으로 본다.

그러나 당시에 예수의 이름으로 주는 세례와 삼위의 이름으로 주는 세례가
공존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근거가 없다.

이 공동체는 아들뿐만 아니라 성령 안에서도 하나님이 임재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고 본다.

사변적이고 추상적인 하나님, 엄위하신 하나님,
그래서 멋대로 상정해 버리는 하나님이 아니라
아들과 성령 안에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구체적으로 다가오시는 하나님,
우리가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고 항상 같이 계실 수 있고
우리에게 관심을 가지고 사랑을 나누어주며
자신을 열어 보이는 하나님이 마태 공동체의 하나님이시다.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는 일에 종사하게 된 <부활 후> 제자들은
예수의권세에 근거하여 세례 주고 가르칠 수 있게 되었다.

세례를 통하여 사람이 예수의 제자가 되고
가르침을 통하여 제자들은 무엇이 하나님의 뜻인지 알게 되며 또 행하게 된다.
제자직에 대한 응답은 세례 받고 가르침 받는 일이다.
세례와 가르침을 받지 않는 제자를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자가 되려면 삼위 하나님의 이름으로([에이스] eivj) 세례를 받아야 한다.
전치사 ‘안으로’ ([에이스] eivj)는 어떤 관계 안으로 들어오는 행위,
즉 주님의 권세 아래로 들어오는 행위를 강하게 암시해준다.
그러므로 세례는 공동체의 일원이 되며
주님의 권세에 굴복하겠다는 서약의 표요,
동시에 세례는 제자들이 하나님 나라를 가르치는 자임과 동시에
그 나라의 제자로서 복종의 삶을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13:52)

 

코이네

Recent Posts

귀신들림과 현대에 오컬트 현상이 확산되는 이유

귀신들림과 오컬트 현상에 대해    1940년, 악마적인 세계대전으로 수많은 생명들이 죽어가고 있을 때, 루돌프 불트만(Rudolf…

7일 ago

가정의 소중함을 알려주는 명언 20가지

가정에 대한 명언   가정에 대한 아름다운 명언 10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데 도움이…

1주 ago

[시 3:1] 고난의 밤을 지나 아침의 평안으로 _박동진 목사 설교

고난의 밤을 지나 아침의 평안으로 본문: 시 3:1-8 박동진 목사(소토교회) 2025.1.19.   다윗에게는 10명 이상의…

2주 ago

로마서 핵심 구절

로마서 핵심 구절   ⚫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2주 ago

한국교회 호감도 14%, 한국교회가 사회적 신뢰를 잃은 이유

최근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가 한국교회를 어떻게 바라보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지표가 공개되었습니다.…

4주 ago

본회퍼, 인간존재의 가치

실제의 인간은 경멸하거나 신격화 할 대상이 아니라 하나님이 사랑하는 대상이다.   우리는 무가치한 존재가 아닙니다.…

1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