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의 한국 주일학교

해방 후 주일학교의 재건과 남북한의 차이 해방이 되자 무너졌던 재단이 다수 수축되고, 잠잠했던 주일학교 운동이 다시 일어났다. 남한에서는 이러한 부흥이 일어났으나, 북한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1947년 1월 14일, 서울에서 주일학교 재건 운동이 시작되었고, 1948년에는 ‘조선주일학교연합회’가 ‘대한기독교교육협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이 단체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붕괴되었고, 1952년 피난지인 부산에서 다시 재출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주일학교연합회’가 … Read more

한국 주일학교의 급속한 성장과 교사 양성, 교재 발행

교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교회는 독자적으로 주일학교를 운영하기 시작하였지만, 공식적인 협의체나 연합체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1905년,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선교 연합 공의회’ 내에 ‘주일학교 공의회’가 조직되었다. 이 조직은 주일학교 교육을 위한 선교사들의 친목 도모와 교육 교재 편찬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주일학교 공부라는 교재가 편찬되었다. 처음에는 선교사들만으로 구성된 위원회였으나, 1911년이 되면서 한국인도 위원으로 … Read more

한국 주일학교의 태동: 복음의 씨앗이 뿌려지다

영국에서 시작된 주일학교 운동은 미국으로 전파되며 큰 발전을 이루었고, 마침내 우리나라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주일학교 운동이 시작된 것은 선교사들에 의해서였다. 당시 선교사들은 버림받고 고통받는 자들, 그리고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숙식을 하며 복음을 전파하였다. 이러한 모습에 감명받은 한국인들은 마침내 그리스도의 복음을 깨닫고 그리스도인이 되었으며, 이들 또한 동족을 위해 헌신할 결단을 내리게 되었다. 1887년, … Read more

미국 주일학교의 특징과 교사

미국 주일학교의 설립 배경 미국의 주일학교는 초기에는 영국과 마찬가지로 가난한 노동자 계층의 아이들에게 기초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이들은 평일에 교육받을 기회를 잃었기 때문에, 한 주간 중 가장 자유로운 날인 주일에 모여 학습하게 되었다. 따라서 주일학교는 공장 도시에서 조직되었으며, 성경 본문을 교재로 하여 고용된 교사들이 기본적인 읽기와 쓰기를 가르쳤다. 미국과 영국 주일학교의 차이점 1820년대부터 미국과 … Read more

영국 주일학교 교사의 특징

영국 주일학교 교육의 특징 영국 주일학교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거리에서 아이들을 모아 깨끗이 씻긴 후, 공부를 가르쳤다는 점이다. 또한, 교사 운영 면에서는 초기에 하루 1실링으로 교사를 채용했지만, 점차 자원봉사 형태의 교육으로 정착해 갔다. 주일학교는 여성 교육에도 기여했으며, 산업사회, 노동, 비행, 범죄 등 산업혁명으로 인해 새롭게 요구된 교육적 필요 속에서 탄생했다. 또한, 교회 바깥에서 시작되었다는 … Read more

19세기 미국 주일학교 운동의 특징

1. 미국 주일학교에 대한 프랑스 정부의 연구 1876년, 프랑스 정부는 미국 초등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이 위원회의 위원장인 뷰송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당시 미국 주일학교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주일학교는 미국 교육의 정상적인 재정이 투자된 부속기관이 아닙니다. 그러나 교육을 완성하고 보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관입니다. 그 목표는 어느 곳에서든 가족, 학교, 교회가 … Read more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과 대계곡 전도운동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이 미국 전역에 큰 물결을 타며, 가속도를 받게된 것은 1830년 5월 아더 타펜씨가 2년 내로 미시시피 계곡 안에 있는 모든 도시에 주일학교를 세울 것을 제안한 “대계곡전도운동”에 의해서이다. 이 흥미로운 제안은 많은 지지자를 얻게 되었고, 그 결과 그 해 미국 주일학교 연합회의 연례 모임에 2천여명의 많은 대표가 참석하였다. 대계곡 전도 운동은 주일학교야말로 ‘국민의 지적, … Read more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의 시작과 확산

엘리엇의 주일학교 운동이 시작됨에 따라 미국 곳곳에 주일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했다. 1786년, 버지니아주 하노버 카운티에 있는 토마스 크렌세의 집에서 두 번째 주일학교가 시작되었으며, 1790년에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서 감리교 협의회가 읽을 능력이 없는 가난한 어린이들을 교육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일학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설립하였다. 이후 1792년 뉴욕에서는 스톡브리지 목사의 누이 집에서 주일학교가 개설되었고, 1804년에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브로드웨이 침례교회에서 미국 … Read more

윌리엄 엘리오트(William Elliott)가 시작한 미국의 주일학교

미국에서 최초로 주일학교가 시작된 것은 1785년, 대서양 연안의 남부 버지니아주에서였다. 당시 남부의 여러 교육기관은 귀족이나 부유층을 위한 것이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교육의 기회가 거의 주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남부 지역이 먼저 주일학교를 설립하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영국에서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도 주일학교는 처음에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개척시대였던 당시, 대부분의 교육은 부모에 의해 이루어졌다. 1785년, 버지니아주의 윌리엄 엘리오트(William … Read more

영국 주일학교 운동의 선구자들: 윌리엄 팍스와 존 웨슬레의 영향과 유산

레이크스와 함께 영국의 주일학교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으로 윌리엄 팍스 (William Fox)와 존 웨슬레(John Wesley)가 있다.   1736년에 태어난 윌리엄 팍스는 경건한 침례교인으로서 런던시의 부유한 상인이었다. 그가 전국을 다니며 장사를 하였는데 그때마다 성경을 배부하였다. 그런데 성경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20명 중 한 명정도 밖에 되지 않아, 가난한 이들의 무지를 깨우치는 방법은 성경을 읽게 하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