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은 어떤 과정을 거쳐 27권만이 정경으로 인정되었나요?

질문)

현재 기독교의 성경은 총 66권입니다. 구약성경이 39권, 신약성경이 27권이죠. 그런데 이 외에도 기독교에는 구약성경의 외경이 있고, 신약성경에는 위경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성경처럼 읽혀지거나 전해져 온 성경이 많이 있다는 것이죠. 지금 정경으로 인정되고 있는 66권은 어떤 경로를 통해 정경이 되었나요?

답변)

초대교회 사도들은 자신의 당대에 예수님의 재림이 있으리라 기대했습니다. 그래서 성경을 기록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고, 전도에 힘썼지요. 또한 당시엔 예수님의 역사성에 대해 의심할 나위가 없었기 때문에 예수님의 실존을 증명해야 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사도들의 기대와는 달리 그들의 시대에 예수님의 재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예수님의 말씀과 가르침을 간직하던 그들이 주님의 부름을 받자 성경을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래서 복음서가 기록이 되었습니다. 또한 교회가 급속도로 부흥하게 되자 이들을 말씀으로 양육하고, 교회의 현실적인 문제를 풀어야 할 필요가 있어 사도들은 교회에 서신 형식으로 기독교의 교리와 생활 규례 등을 적어 보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많은 이단들이 생겨나 그들의 필요에 따라 사도들의 이름을 빙자하여 많은 글들을 적어 성경처럼 유포하였고, 이것이 교회를 무척 혼란스럽게 했습니다. 그래서 교회는 이에 새로운 경전을 확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그래서 로마 가톨릭교회는 신약성경 후보에 해당하는 많은 복음서, 행전, 편지(서신) 등의 문헌들을 다음의 기준에 따라서 분류하였습니다.

1.사도로 인정되는 이가 직접 기록하거나 혹은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가 기록한 문헌.
2.성령의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고 믿을 수 있는 문헌.
3.다른 문헌들과 모순되는 내용이 없는 문헌.
4.믿음과 직제가 통합된 보편교회(Catholic Church)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문헌.

이에 따른 당시의 결론을 유세비우스의 분류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호모루구메나(경전성에 의심이 없는 문서) – 4복음서, 바울 서신, 베드로 전서, 요한 1서
2.안티레고메나(경전성에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서) – 베드로 후서, 요한 2-3서, 유다서, 야고보서
3.노타(경전성 인정은 어려우나, 잘 알려진 문서) – 베드로 묵시록, 요한 묵시록, 디다케, 바나바의 편지, 헤르마스의 목자 등

키릴루스는 이 중에서 호모루구메나와 안티레고메나를 합쳐 26권의 목록을 만들었는데, 이는 현재의 신약성경 구성을 결정하는데 뼈대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에 아타나시우스는 키릴루스가 ‘노타’로 분류했던 요한 묵시록을 호모루구메나로 보아야 하며, 총 27권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결국 아타나시우스의 주장이 관철된 27권의 신약성서 구성은 382년 로마 공의회에서 확정되었습니다. 그리고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는 구약성경 목록과 더불어 27권을 신약정경으로 최종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로마카톨릭 교회의 이러한 결정에 대해 일부 동방교회는 구약성경의 아포크리파(외경)와 신약성경의 안티레고메나가 제외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논의 끝에 결국 트룰란 에큐메니컬 공의회(692)에서 동방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결정 일부를 수용하여 신약성경 목록을 공유하고, 구약성경의 아포크리파는 일단 정경으로 간주하는 개선된 태도를 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져 신약성경의 정경화 작업이 마무리 된 것입니다.

by 코이네 자료실

Related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