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창세기 3장 1절~7절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는 창세기 3장 1절에서 7절까지의 말씀을 통해 인간의 첫 번째 죄와 그 결과에 대해 깊이 묵상해보고자 합니다. 이 본문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가 깨지는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뱀은 여자를 찾아와 하나님께서 하신 말씀을 교묘하게 왜곡하며 질문합니다. “하나님이 참으로 너희에게 동산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 하시더냐?”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하와에게 동산 중앙에 있는 선악과만 먹지 말라고 명령하셨지만, 뱀은 이 말씀을 과장하여 마치 하나님이 모든 열매를 금지하신 것처럼 말합니다.
이러한 질문은 여자로 하여금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흔들리게 만듭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말씀을 정확히 알고,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사탄의 거짓 속임수에 쉽게 넘어갈 수 있습니다.
여자는 뱀의 말에 흔들려 선악과를 바라봅니다. 6절을 보면, 하와는 그 나무의 열매가 “먹음직도 하고 보암직도 하고 지혜롭게 할 만큼 탐스럽기도 한 나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이 죄를 짓게 되는 세 가지 유혹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혹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우리를 시험합니다. 우리가 세상의 유혹에 빠질 때마다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며 이겨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질문합니다. “왜 하나님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를 두시고, 그 열매를 먹으면 죽는다고 하셨을까?” 이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단순한 금지를 주신 것이 아니라, 더 깊은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선악과를 금지하신 것은 인간을 시험하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참된 생명을 누리게 하려는 사랑과 보호의 표현이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질문합니다. “하와가 왜 하나님처럼 되고 싶어 했을까? 하나님께서 하와를 잘못 창조하신 것은 아닐까?”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하나님께서 인간을 선하게 창조하셨다고 말씀합니다(창세기 1:31). 하와가 하나님처럼 되고 싶은 욕망을 가진 것은 잘못 창조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의지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의 문제였습니다.
결국 문제는 창조의 결함이 아니라, 인간이 하나님과의 신뢰를 깨뜨린 데 있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고 내 판단을 우선시할 때 같은 실수를 저지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고 순종하는 것이 가장 지혜로운 길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고 죄를 짓고 난 후 아담과 하와는 즉시 그 결과를 경험합니다. 그들의 눈이 밝아졌지만, 그것은 진정한 지혜를 얻은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부끄러움을 깨닫게 된 것이었습니다.
7절을 보면 “이에 그들의 눈이 밝아 자기들이 벗은 줄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 치마로 삼았더라”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죄를 짓기 전에는 부끄러움을 몰랐던 그들이 이제는 부끄러움을 느끼고 그것을 감추려 합니다. 그러나 무화과나무 잎으로 만든 옷은 임시방편일 뿐이며, 하나님 앞에서 그들의 죄를 온전히 가릴 수 없었습니다.
이처럼 인간은 죄를 지으면 하나님 앞에 서기가 두려워집니다. 우리의 본능은 죄를 숨기고 감추려 하지만, 진정한 해결책은 하나님께 나아가 회개하는 것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범죄는 인류 전체의 죄의 기원이 되었지만, 하나님은 우리를 그냥 버려두지 않으셨습니다. 그들의 죄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가죽옷을 지어 입히시며 은혜를 베푸셨습니다(창 3:21). 이는 훗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그림자입니다.
우리는 죄를 지었을 때 숨기려 하지 말고 하나님 앞에 나아가야 합니다. 요한일서 1장 9절에서 말씀하시기를, “만일 우리가 우리 죄를 자백하면 그는 미쁘시고 의로우사 우리 죄를 사하시며 우리를 모든 불의에서 깨끗하게 하실 것이요”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죄를 지었을 때 두려워하지 말고 즉시 하나님께 회개하며 용서를 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연약함을 아시고 용서해 주실 준비가 되어 계십니다.
오늘 본문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죄와 그 결과를 깊이 깨닫게 됩니다.
사랑의 하나님 아버지, 오늘 말씀을 통해 인간의 죄와 그 결과를 다시 한번 깊이 깨닫게 하심에 감사드립니다. 저희도 종종 유혹 앞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잊고 죄를 선택하는 연약한 존재임을 고백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셔서 저희 죄를 씻어주시고, 다시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할 길을 열어주셨음을 믿습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by 박동진 목사(소토교회)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너는 복이 될지라' 하셨습니다. 복이 된다는 말을 흔히 '복의 근원, 축복의 통로' 등으로…
하나님의 은혜가 흐르는 족보 본문 : 창세기 11:10-26 (발췌) 2025.4.26. 소토교회 아침기도회 설교 이…
정결(clean)과 부정(unclean)에 대한 기준은 구약성경 전체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깊이 있는 주제입니다. 단순히 위생적, 문화적, 종교적으로만…